-
-
하비에르 라스쿠라인
대표작 : 영어, 세계를 하나로 이어주는 말 - 오렌지 시리즈 4
약 력 :대학에서 저널리즘을 전공하고 스페인 EFE 통신사에서 일하고 있다. 각종 잡지에 글을 기고하며 책을 쓰고 있다. 대표작으로는 , 등이 있다.
-
-
이규탁
대표작 : 인생명강 12 Z를 위한 시 - Post-BTS와 K-Pop의 미래
약 력 : 한국 조지메이슨대학교 국제학과 교수서울대학교 영어영문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 언론정보학과에서 석사학위를, 미국 조지메이슨대학교에서 ‘케이팝 세계화(Globalization of K-Pop)’에 관한 연구로 문화연구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귀국 후 가톨릭대학교, 국민대학교, 인하대학교 등에서 음악산업과 대중문화, 영상미디어 관련 과목을 강의했으며, 2015년부터 인천 송도국제신도시에 위치한 한국 조지메이슨대학교 국제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현재 한국대중음악상 심사위원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대중음악과 관련된 다양한 논문과 칼럼들을 학술지 및 다수의 매체에 기고해왔다. 저서로 『케이팝의 시대』(2016), 『갈등하는 케이, 팝』(2020) 등이 있다. 『Z를 위한 시』는 BTS를 위시한 케이팝 현상의 세계사적 의미를 톺아보고, Z세대에게 미치는 전방위적인 영향력과 BTS 다음의 ‘4세대’ 케이팝에 대해 전망해보는 본격 케이팝-젠지 융합 교양서다. 케이팝의 정의부터 시작해 케이팝 형성의 역사적 배경과 장르적 특성, 독특한 비즈니스 모델 등에 대해 이야기하고, 왜 국내뿐만 아니라 전 세계의 젊은 세대가 케이팝에 빠져 있는지를 아울러 다룬다. 케이팝의 과거, 현재, 미래를 속도감 있으면서도 충실하게 전달하는 이 책을 통해 새로운 세대의 케이팝과 새로운 세대의 수용자에 관한 벅찬 스토리를 만나볼 수 있을 것이다.
-
-
더나은삶TV(채수앙)
대표작 : 하루 3분, 꺼내 먹는 자본주의 - 화폐와 금리부터 부의 축적 원리까지, 세상에서 가장 짧은 자본주의 수업
약 력 : 공인회계사한국공인회계사. 성균관대학교에서 경제학을 전공하고 삼정KPMG(삼정회계법인)와 사모펀드 운용사 루터프라이빗에쿼티에서 일했다. 국내외 대기업 국내 조세 컨설팅, M&A · 재무실사 및 기업 구조조정 컨설팅, 회계감사 및 법인세 세무조정, 투자기업 관리 업무 등을 수행했으며, 이러한 실무 경험을 바탕으로 기초회계, 재무회계 재무전략 등에 관한 온라인 클래스 플랫폼을 운영하고 있다. 구독자 25만 명의 유튜브 채널 ‘더나은삶TV’에서는 ‘더 나은 삶을 위한 지식 채널’이라는 콘셉트로 최신 경제 뉴스와 경제 이론, 사회과학 이론 등을 전달하고 있다. 『하루 3분, 꺼내 먹는 자본주의』에서는 부의 최전선에서 배운 실전 감각을 발휘하여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 ‘자본주의’에 관한 모든 것을 풀어냈다. 이 책은 자본주의 역사부터 화폐, 경제구조, 투자전략, 성공 마인드와 부의 축적까지 총 6개의 파트로 구성됐으며 각 파트의 교양 지식은 3분 안에 읽을 만한 분량으로 최대한 압축하여 독자들의 직관적인 이해를 돕고자 했다. 책을 읽고 나면 자본시장의 큰 흐름은 물론, 미래에는 대체 어떤 뉴스들이 흘러나올지 예측이 가능해지면서 경제적으로 보다 자유롭고 자주적인 삶을 꾸려갈 수 있을 것이다. 무엇보다 험악한 자본주의 세계에서 당하지 않고 살아남는 원리를 자연스럽게 체득할 수 있을 것이다. 유튜브 더나은삶TV 홈페이지 https://thebetterlifetv.com
-
-
코리아다이나미즘포럼
대표작 : 대한민국, 넥스트 레벨 - 정치·사회·문화·경제 최고 전문가 12인의 국가 성장을 위한 제언
약 력 :이 책의 집필진이 중심이 되어 한국의 성장동력을 활성화하고 선진국으로서 미래 비전을 제시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개방적 네트워크 조직으로서 한국 특유의 다이나미즘을 지키고 확장하기 위한 활동을 하고자 한다.
-
-
로스 킹
대표작 : 대한민국, 넥스트 레벨 - 정치·사회·문화·경제 최고 전문가 12인의 국가 성장을 위한 제언
약 력 : 현 브리티시컬럼비아대학교(UBC) 아시아학과 한국어문학 교수이다.미국 미네소타주에 위치한 콘코디아 언어마을(Concordia Language Villages) 전국자문회 위원이고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인터유니버시티센터(The Inter-University Center for Korean Language Studies at SKKU, ‘IUC at SKKU’)의 공동설립자며 해외위원회 공동의장으로 있다. 콘코디아 언어마을 “숲속의 호수”라는 한국어 마을의 설립자이자 1999년부터 2014년까지 15년간 ‘촌장’으로 일했다. 2022년 가을 한글학자 외솔 최현배 선생을 기리는 제44회 외솔상을 외국인 처음으로 실천 부문에서 수상받았다. 한국어와 한글의 역사 연구, 해외 한국어와 한국문화의 교육과 보급 등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다(https://ubc.academia.edu/RossKing).
-
-
홍길표
대표작 : 대한민국, 넥스트 레벨 - 정치·사회·문화·경제 최고 전문가 12인의 국가 성장을 위한 제언
약 력 : 현 백석대학교 경상학부 교수이자 (재)한국청년기업가정신재단 기업가정신연구소 소장이다.행정안전부, 인사혁신처, 산림청 등 정책자문위원으로 활동했으며, 교육부, 통일부 등 기타 공공 기관 경영평가단장을 역임하였다.
-
-
윤명오
대표작 : 대한민국, 넥스트 레벨 - 정치·사회·문화·경제 최고 전문가 12인의 국가 성장을 위한 제언
약 력 : 현 서울시립대학교 명예교수이다.그 외 한국119청소년단 총재, 한국생활안전연합 공동대표, 원자력기술 전문위원 및 문화재 재난안전위원회 위원장을 맡고 있다. 서울대학교 건축학과를 졸업하고 일본 도쿄대학에서 공학박사학위를 취득했다. 대한주택공사와 명지대학교건축학과 교수를 거쳐, 1997년 서울시립대학교 건축공학과 교수로 부임한 이후 방재공학과, 재난과학과, 소방방재학과와 서울시 조례기관인 도시방재안전연구소를 설립하고 동 대학교 연구소장을 역임했다. 2002년 민간부단장(1급)으로 소방방재청 창설을 주도했고, 원자력안전위원회 초대위원, 대통령직속 규제개혁위원 및 한국화재소방학회장, 한국 화재보험협회 기술고문을 역임했다.
-
-
윤종인
대표작 : 대한민국, 넥스트 레벨 - 정치·사회·문화·경제 최고 전문가 12인의 국가 성장을 위한 제언
약 력 : 현 이화여대 정책대학원 초빙교수이다.1988년 공직을 시작하여, 청와대 행정자치비서관, 충청남도 행정부지사, 행정안전부 정부혁신조직실장·지방자치분권실장·차관,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상임위원(차관급)·위원장(장관급)을 역임하였다. 정부조직 전문가로 김대중 정부에서 문재인 정부에 이르기까지 정권 변동기 정부조직 개편에 직접 참여하였고, 노무현 정부의 정부혁신, 박근혜 정부의 정부3.0과 데이터 개방, 문재인 정부의 디지털 정부혁신을 추진하였다. 박근혜 정부 행정자치비서관으로 공무원연금 개혁을 지원하였으며, 행정안전부 차관으로 재직 시에는 지방자치법 전면개정 등 자치분권 확대를 위해 노력하였다. 2020년 장관급 중앙행정기관으로 독립한 개인정보보호위원회의 초대 위원장으로 임용되어 2년간 조직의 전문성과 독립성 향상을 위하여 기여하였다. 역사학도로서 역사의 필연성보다는 합리적 이성, 공감과 유대에 입각한 역사진보의 가능성을 믿고 있다.
-
-
임명묵
대표작 : 대한민국, 넥스트 레벨 - 정치·사회·문화·경제 최고 전문가 12인의 국가 성장을 위한 제언
약 력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아시아언어문명학부에서 서아시아 지역학을 전공하고 있다. 연구 분야는 20세기 소련의 무슬림 지역의 근대화지만 역사, 국제정치, 대중문화 전반에 대한 다양한 관심사를 바탕으로 책을 쓰고 조선일보, 중앙일보, 시사저널 등에 칼럼을 기고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시진핑 시대 중국의 전환을 다룬 『거대한 코끼리, 중국의 진실』(2018)과 90년대생 한국 청년의 세계 인식을 비롯하여 현대 한국을 주제로 한 사회비평서인 『K를 생각한다』(2021)이 있다.
-
-
정은성
대표작 : 대한민국, 넥스트 레벨 - 정치·사회·문화·경제 최고 전문가 12인의 국가 성장을 위한 제언
약 력 : (주)에버영코리아의 창립자이자 현 대표이사이다.나이, 성, 학력 차별이 없는 세상을 위해 일하고 있다. 세계적인 ESG 기업 인증기관인 비콥(B Corp) 한국위원회 위원장을 지냈고, (사)비랩코리아 이사장으로서 기업의 변화를 통한 자본주의 및 사회환경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김대중 대통령 비서실 통치사료비서관을 역임했으며, 국회보좌관과 국회정책연구위원으로서 정치개혁 관련 법안 작성 업무를 맡아 선거법과 정치자금법 개정에 이바지하였다. 정치학, 국제관계학, 정책학, 협상학 등의 분야에서 교수 및 연구 활동을 했고 『협상의 전략』 등 다수의 저서와 논문들을 저술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