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박철주
대표작 : 크리티컬 씽킹 - 미래의 CEO를 위한 MBA 시리즈
약 력 :삼육대학교 경영학과 졸업하고, 일본 게이오대학 상학연구과에서 석사, 박사 학위를 받았다. 저서로는『유통기업의 경영분석』『점포창업실무』『나도 23살에 가게하나 차렸으면 좋겠다!』『미국에서의 소매업태의 발달사』가 있다.
-
-
시바 료타로
대표작 : 항우와 유방 3
약 력 :오사카 외국어대학 몽골어과를 졸업했다. 학도병으로 전차부대에 들어가 도치기 현 사노(佐野)에서 종전을 맞았다. 신일본신문사(新日本新聞社)를 거쳐 산케이 신문사(産經新聞社)에서 근무했다. 신문사 재직 중에 데라우치 오요시(寺內大吉) 등과 동인지 『근대설화』를 창간했으며, 『올빼미의 성』(1959)으로 나오키 상을 수상했다. 『풍신의 문』(1961~1962) 등 전기성(傳奇性)이 강한 작품을 많이 썼지만, 그 후 『료마가 간다』(1962~1966), 『성채('풍운의 성채'로 번역되었음)』(1969~1971) 등 역사적 사실에 근거하여 현대적인 해석을 가한 역사소설의 새 분야를 개척했다. 그 외에 메이지 유신(明治維新)기 정치가인 에토 신페이(江藤新平)의 비극을 다룬 『세월』(1968~1969), 오무라 마스지로(大村益次郞)의 생애를 그린 『화신』(1969~1971), 아키야마 사네유키(秋山眞之)와 마사오카 시키(正岡子規) 등의 인간 군상을 통해 메이지 시대 일본의 여명을 그린 『언덕 위의 구름』(1968~1973) 등의 역작이 있다. 1976년 일본 예술원상을 수상했고, 예술원 회원을 지냈다. 살아생전 60종의 소설과 50종의 평론, 에세이, 대담집 등을 발간했으며, 그 중 베스트셀러가 12종, 1백만 부 이상 판매된 작품만 10종이 넘는 일본의 정신적 지주, 시바 료타로. 국가, 종교, 환경 등 전 분야에 걸친 깊이 있는 학문적 견해들 뿐 아니라, 역사소설을 통해 2차 세계대전 후 이른바 일본의 단카이團塊 세대(60년대 학생 운동과 70년대 석유 파동으로 대표되는 혼란기를 살았으며, 7,80년대 경제 고도성장의 주역이 된 세대)들에게 일본이 나아갈 길과 일본인의 원형을 제시해준 인물로도 널리 알려져 있다. 역사 소설를 집필할 때마다 ‘트럭 하나 분의 자료를 가지고 글을 쓴다’고 할 정도로 철저한 고증을 바탕으로 하고 있는 그의 소설들은, 다이카 개신에서부터 근대의 메이지 유신에 이르는 일본의 굵직한 역사적 사건들이 녹아있어, 박진감 넘치는 일본사의 한 장면들을 들여다보게 한다. 역사의 큰 흐름을 주도한 인물들에 대한 뛰어난 통찰력과 묘사도 시바의 작품이 사랑받는 중요한 요인. 그의 업적을 기려 1998년에 문예, 학예, 저널리즘 분야에서 창조적 활동으로 주목을 끈 사람에게 수여되는 ‘시바 료타로 상’이 제정되었다. 역대 수상자로는 일본의 석학 '다치바나 다카시', '로마인 이야기'의 저자 시오노 나나미, 애니메이션 계의 대부 '미야자키 하야오' 등이 있다.
-
-
서용칠
대표작 : ISO 9000/14000 인증을 위한 절차서ㆍ지침서 작성 매뉴얼
약 력 :
-
-
스펜서 존슨
대표작 : 1분 경영 - 켄 블랜차드·스펜서 존슨의
약 력 : 베스트셀러 작가이자 전 세계에서 가장 존경받고 사랑받는 사상가이자 작가이다.40년이 넘는 시간 동안 간단하면서도 지혜로운 이야기들을 창조해 전 세계 수천만 독자들을 감동시켰다. 그가 풀어놓는 이야기들은 평범하지만 세대와 국적을 초월하는 보편적인 진리를 담고 있다. 수많은 명저를 발표했고 그의 저작들은 47개국의 언어로 번역되어 세계 각국에서 베스트셀러의 명성을 떨치고 있다. 1938년 미국 사우스다코다 주에서 태어났다. 서던캘리포니아대학교에서 심리학을 전공한 뒤, 영국 왕립외과대학에서 의학을 공부했으며, 메이오클리닉과 하버드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에서 수련의 과정을 마쳤다. 그는 하버드대학교 경영전문대학원에서 리더십 특별연구원, 하버드대학교 행정대학원에서 공공리더십센터 고문, 세계적인 컨설팅 기업인 스펜서 존슨 파트너스의 회장을 역임했다. 『1분 의사결정』, 『1분 자기혁명』, 『1분 경영』, 『좋은 아빠가 되기 위한 1분 혁명』, 『1분 엄마』의 5권으로 이루어진 ‘1분 시리즈’는 뉴욕타임스 선정 최고의 베스트셀러 상을 수상한 바 있다. 국내에서도 좋은 반응을 얻은 『누가 내 치즈를 옮겼을까』와 『선물』 외에도 어린이를 위한 『Value Tales』시리즈, 『선택』, 『행복』, 『Yes or No』, 『피크 앤드 밸리』, 『부모』, 『영어 한 줄 변화 한 조각』 『내 치즈는 어디에서 왔을까?』등의 저서가 있다. 2017년 7월 췌장암에 의한 합병증으로 세상을 떠났다.
-
-
한스 페터 베크 보른홀트
대표작 : 생각의 기술 - 똑똑한 사람이 빠지기 쉬운 착각의 함정
약 력 :현재 함부르크대학 의학과에서 강의하고 있다. 물리학자 출신으로, 재미있는 과학책를 지었다
-
-
스티븐 K. 스캇
대표작 : 솔로몬 부자학 31장
약 력 :스티븐 K. 스캇STEVEN K. SCOTT은 (주)아메리칸 텔레케스트AMERICAN TELECAST CORPORATION 공동 설립자로 공동 경영자들과 함께 수십 억 달러의 판매량을 달성하며 10여 개의 회사를 세웠다. 세계적인 베스트셀러 5권을 저술했으며 개인적·직업적 성공에 관한 인기 있는 강연을 진행하고 있다. 저술가, 마케팅 사업가를 넘어 프로듀서, 감독으로도 알려진 그는 사실 대학을 졸업하고 6년 동안 가는 곳마다 해고를 당했다. 성공과는 먼 것처럼 여겨지던 그를 변화시킨 것은 바로 게리 스몰리 박사DR. GARY SMALLEY가 제안한 “매일 잠언서 1장씩 읽기”였다. 지혜의 왕 솔로몬의 이야기가 그대로 기록된 잠언서를 통해 매일 자신의 본성을 가다듬으며, 어제와 다른 오늘을 만들고자 노력했다. 결국 그는 꿈꿔오던 행복과 성공을 이루어가고 있으며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전 세계인에게 잠언서의 지혜를 전파하고 있다. 저자 스티븐의 홈페이지는 HTTP://WWW.STEVENKSCOTT.COM 이다.
-
-
김영환
대표작 : 경영전략 - 미래의 CEO를 위한 MBA 시리즈
약 력 :영남대학교에서 무기재료공학을 전공, 경영학을 복수 전공했다. 또한 일본 와세다대학교 대학원 상학(경영) 연구과를 졸업했다. 현재는 미쓰이스미토모은행 Chief Credit Analyst이며 (주)엔터스코리아 전속 번역가로도 활동 중이다. 역서로 『한국의 개혁 끝나지 않았다』『이공계를 위한 배우지 않았던 경영』『세계비즈니스 명저』 등이 있다.
-
-
스티븐 흐로닉
대표작 : 바이탈 사인 - 리엔지니어링을 위한 업적평가기준
약 력 :아더앤더슨컨설팅의 파트너로 현재 전세계 제조업 부문의 책임을 맡고 있다. 오랫동안 세계적인 제조업체들의 전략경영, 원가혁신, 생산성향상, 성과측정지표 개발, TQM, BRP 분야 등의 컨설팅 업무를 해왔으며 하버드경영대학원등의 강의와 유력한 신문, 잡지에 여러 논문을 발표하는 등 독자적인 영역을 쌓아왔다.
-
-
스티븐 J. 스토웰
대표작 : 윈윈 파트너십 - 성공을 창조하는 사람들의 코칭 스킬
약 력 :스티븐 스토웰 박사는 CMOE Global의 설립자이자 대표이다. CMOE는 1978년에 설립되었고, 경영, 리더십, 조직 개발 등의 서비스를 전문적으로 제공한다. 30여 개국에서 세계 최대 규모의 기업들에게 전략적 사고, 전략 리더십, 코칭 팁스, 팀워크, 감성 지능, 소통, 협력과 갈등, 그리고 혁신을 개발하도록 돕는다.
-
-
스티븐 스콧
대표작 : 백만장자 이력서
약 력 :대학 졸업 후 6년 동안 아홉 군데의 직장에서 실직과 해고를 거듭한 스티븐 스콧은 상사로부터 도저히 성공할 수 없는 사람이라는 평가까지 받은 실패자였다. 그러던 중 이 책의 ‘서문’을 쓴 게리 스몰리 박사의 조언에 따라 매일 하루를 시작하기 전 〈잠언〉 1장씩을 공부하기 시작했고, 지혜의 왕 솔로몬의 조언에 따라 동업자들과 협력 관계를 구축, ‘아메리칸 텔레캐스트(American Telecast)’를 설립한다. 사업은 날로 번창해 수십억 달러의 매출을 기록하게 된다. 그 또한 백만장자가 되었고, 〈포천〉 500대 기업의 CEO 중 8번째 부자로 기록되기도 했다. 이 책 《삐끗한 인생 되돌리기》를 비롯해, 《백만장자의 이력서》, 《내가 멘토에게 배운 것》, 《스티븐 스콧의 꿈을 실현하는 사람들의 15가지 성공 비결》 등 그가 쓴 수많은 책들은 〈뉴욕타임스〉, 아마존은 물론이고 전 세계적인 베스트셀러가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