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조재희
대표작 : 데이터 천재들은 어떻게 기획하고 분석할까? - 직관을 넘어 핵심을 꿰뚫는 데이터 분석의 절대 법칙
약 력 : 광운대학교 정보융합학부 교수로 창업지원센터장, 입학처장, 국제처장을 역임했다.네브래스카대학교에서 의사결정지원시스템 연구로 박사학위를 취득했고, 데이터 자산의 전략적 활용, 시공간 데이터분석, 다차원 모델링 연구로 주목받고 있다. 한국BI데이터마이닝학회장과 정부3.0 추진위원회 빅데이터분과 전문위원을 지냈으며, 다수의 논문을 발표하는 등 국내 데이터 발전을 위해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다.
-
-
크리스토퍼 조지프
대표작 : 측정의 과학 - 펨토미터에서 허블 길이까지, 인류가 발명한 가치의 언어
약 력 : 프리랜서 작가, 편집자, 평론가옥스퍼드대학교의 트리니티칼리지에서 금속학과 재료과학을 공부했고, 영국 재료과학원(the Institute of Materials, Minerals and Mining)의 회원이다. 과학ㆍ기술을 전문 분야로 활동하는 프리랜서 작가, 과학 저널의 편집자이자 평론가이다. 과학 분야의 개념을 쉽게 설명하는 장점을 살려 『모든 것의 측정: 측정 과학에 대한 그림 안내서(A Measure of Everything: An Illustrated Guide to the Science of Measurement)』『해부학: 예술가와 학생을 위한 인체에 대한 완벽한 안내서(Anatomy: A Complete Guide to the Human Body, for Artists & Students)』를 저술했다.
-
-
박현묵
대표작 : 끝나지 않은 이야기
약 력 : 번역가톨킨 팬카페 '중간계로의 여행'에서 '팩맨'이라는 닉네임으로 활동 중이다. 2016년 ‘중간계로의 여행’에서 시작된 『끝나지 않은 이야기』 번역 프로젝트에 초창기부터 참여하여 「투오르와 그의 곤돌린 도달에 대하여」 장과 「창포벌판의 재앙」 장을 완역했다. 현재 서울대학교 인문학부에 재학 중이다.
-
-
브라이언 시블리
대표작 : 가운데땅의 지도들
약 력 : 영국의 소설가이자 인기 드라마 작가.직접 쓴 책으로는 『섀도우 랜즈(shadowlands)』가 있다. 『씨 에스 루이스와 조이 데이비드먼의 진짜 이야기 (The true stories of C.S.Lewis and joy Davidman)』와 『나니아연대기 (The land of Namia)』 『반지의 제왕』 『호빗』 『해리포터』의 방송용 타이틀과 메이킹북 등을 집필했다.
-
-
테드 네이스미스
대표작 : 실마릴리온
약 력 : 일러스트레이터캐나다 토론토에 거주하고 있으며, 40여 년간 톨킨의 주요 저작물에 일러스트를 그려왔다. 일러스트 에디션 및 로버트 포스터의 저작 의 일러스트로 톨킨 문학선 독자들에게 잘 알려져 있다. 톨킨 문학선의 주요 일러스트레이터로서, 영화 에도 그의 영향력은 잘 반영되고 있다.
-
-
앨런 리
대표작 : 실마릴리온
약 력 : 일러스트레이터케이트 그린어웨이 상을 수상한 세계적인 일러스트레이터이자 톨킨 문학선의 주요 아티스트로 널리 알려졌다. 2000년대 이후 일러스트 버전으로 출간된 그리고 에 메인 일러스트를 담당했고, 피터 잭슨의 영화 에도 존 하우와 함께 컨셉 아티스트로 참여했다.
-
-
존 하우
대표작 : 끝나지 않은 이야기
약 력 : 출판 화가1957년에 캐나다 밴쿠버에서 태어났다. 1981년에 프랑스 국립 에콜데자르 예술학교를 졸업하고 출판 화가로 많은 작품을 남겼으며, 특히 톨킨의 주요 저작물에 일러스트레이션, 지도 등을 그려 주목받았다. 이후 피터 잭슨의 삼부작 영화 에서 컨셉 아티스트로 참여하였는데, 영화의 세계적 인기와 함께 구현된 모든 비주얼이 큰 호평을 받아 톨킨 문학선의 대표 화가로 꼽히고 있다. 현재 존 하우는 아마존 TV 시리즈로 제작중인 에도 아티스트로 참여하고 있다.
-
-
크리스토퍼 톨킨
대표작 : 실마릴리온
약 력 : J.R.R.톨킨의 셋째 아들이다.10대 시절부터 과 을 들으며 아버지와 대화를 나누었고, J.R.R 톨킨은 그를 ‘가장 중요한 비평가이자 협력자’라고 말하기도 했다. 크리스토퍼 톨킨은 아버지가 남긴 수많은 원고를 정리하고 지도를 제작하는 등 톨킨 문학의 가장 중요한 편집자로서 큰 업적을 남겼다. (1977), (1980), (1983~1996), (2007), (2017), (2018) 등 톨킨의 ‘가운데땅 레젠다리움’이라 불리는 주요 작품들이 크리스토퍼 톨킨의 손에 의해 세상에 나올 수 있었다. 2020년 96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
-
류우익
대표작 : 제3의 성찰 - 자유와 통일
약 력 : 서울대학교 명예교수1950년 경북 상주에서 교사의 태어나 상주고등학교를 나왔다. 서울대학교 지리학과 학부와 석사과정을 졸업하고(1967~73), 육군사관학교 교수부 환경학과 교관으로 군복무를 마쳤다(1973~75). 독일 킬대학교에서 지리학과 역사학, 사회학을 공부하고 「농촌지역의 중심지행동과 사회구조」로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1976~80). 서울대학교 지리학과 교수(1980~2009)로 재직하면서 사회지리학, 지역정책론, 지정학을 가르쳤고, 교무처장(2000~2002), 국제지리학연합(International Geographical Union, IGU) 사무총장(2004~2010)으로 봉사하였다. 2008년부터 2013년까지 5년 동안 대학을 떠나 이명박 정부에서 대통령실장, 주중국 대사, 통일부 장관으로 일하였다. 정무직에서 퇴임한 후 육군사관학교 석좌교수(2015~18), 서울대학교 명예교수(2015~현재)로 학계에 복귀하였고, 2019~20년에는 로베르트 보슈 재단(Robert Bosch Stiftung)의 리하르트 폰 바이츠제커 펠로(Richard von Weizsäcker Fellow)로 '독일통일 30년에 관한 독일인들의 인식'에 대한 현지조사를 수행하였다. 논문과 저서로 「통일국토의 미래상: 공간구조 개편 구상」(《대한지리학회지》 31권 제2호, 1996), 『장소의 의미 1, 2』(삶과꿈, 2004), 「Spatial inertia of a divided nation」(《Petermanns Geographische Mitteilungen》 148, Jg. 2004/5) 외 다수가 있다.
-
-
한영준
대표작 : 두선생의 지도로 읽는 세계사(서양 편) - 지리로 ‘역사 아는 척하기’ 시리즈
약 력 : 유튜브 채널 〈두선생의 역사공장〉에서 역사와 지리, 세계와 사람에 관해 이야기하고 있다.어린 시절 바둑을 가르쳐준 아버지와 동대문에서 옷 장사를 하던 어머니 밑에서 자란 덕분에 ‘서생의 문제의식’과 ‘상인의 현실감각’을 격언으로 삼았다. 지도와 역사책을 끼고 살며 친구들에게 아는 척하기를 좋아하는 유년 시절을 보냈다. 이후 과거를 살다 간 사람들과 현재를 사는 사람들에 관심이 커졌고, 암기력이라는 잔재주를 바탕으로 고려대학교 교육학과에 입학했다. 대학 졸업 후 우리가 사는 세상과 그 안에서 시간을 살아내는 사람들의 소식을 전하는 기자로 일하게 되었지만, ‘역사’라는 첫사랑을 잊지 못해 2019년 말부터 유튜브에서 지도를 펼치기 시작했다. 두강생들을 위해 ‘역사를 위한 지도, 시사를 위한 지리(역지사지)’라는 콘셉트의 역사 강의를 하는 ‘두선생’으로 활약하고 있다. 역사라는 잘 차려진 요리에 재미 한 스푼, 정리 한 스푼, 통찰 한 스푼을 넣어 유통 중이다. ‘역사와 인문사회학 대중화’를 목표로 ‘역사 소상공인’ ‘지식 유통업자’의 길을 걷고 있다. ▶ 유튜브 youtube.com/두선생의역사공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