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엘리즈 그라벨
대표작 : 가짜 뉴스 - 넘쳐나는 정보 속에 진짜를 알아보는 법!
약 력 : 작가이자 일러스트레이터입니다.그래픽 디자인 공부를 마치고, 화려한 삽화의 세계로 빠져들었습니다. 그림 속에 글을 더하면서 점차 자신만의 책을 만들기 시작했습니다. 《벌레 팬클럽 (The Bug Club)》, 《난민 친구가 왔어요 (What Is A Refugee?)》 등 아이들을 위한 책 여러 권을 지었습니다.
-
-
요시다 에리카
대표작 : 사랑할 수 없는 두 사람
약 력 : 1987년생 각본가.대표작으로 TV드라마 〈서른살이 될 때까지 동정이면 마법사가 될 수 있다고 한다〉, 〈꽃보다 맑음〉영화 〈히로인 실격〉, 〈철벽 선생〉, 〈홀릭 xxxHOLiC〉등이 있다. 또한 소설 〈뇌장 작렬 걸〉 시리즈가 총 발행 부수 60만 부를 돌파하는 등 영화 TV드라마, 애니메이션, 무대, 소설 등 다양한 장르에서 집필 활동을 펼치고 있다.
-
-
이상원
대표작 : 자유주의와 그 불만 - Philos 015
약 력 : 클레어몬트대학원 정치학 박사, 인천대학교 윤리교육과 조교수.정치적 존재에 대한 질문을 바탕으로, 현대사상에서 나타나는 고전 정치철학의 진리와 존재 문제에 초점을 두고 연구하고 있다. 주요 저작으로 「근대성의 끝에서 마주한 정치적 존재의 문제: 스트라우스의 하이데거 실존주의 해석과 새로운 존재물음의 가능성」 「인민의 존재, 포퓰리즘 그리고 민주주의의 정치윤리」 「Democracy, Faction and Diversity: An Analysis of the Existential Ground of Democratic Republic Reflected in The Federalist Papers」 「진리 경험의 역동성과 긴장성: 하이데거의 『파르메니데스에 나타난 플라톤 해석의 정치적 함의」 등이 있다.
-
-
프랜시스 후쿠야마
대표작 : 자유주의와 그 불만 - Philos 015
약 력 : 정치경제학자, 역사철학자, 스탠퍼드대학교 교수.1952년 미국 시카고에서 일본계 미국인 3세로 태어났다. 코넬대학교에서 고전학을 공부한 뒤 하버드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국방·행정 분야의 권위 있는 비영리 민간연구소인 랜드연구소(RAND Corporation) 연구위원과 미 국무부 정책기획실 차장을 지냈고, 조지메이슨대학교 공공정책학과 교수와 존스홉킨스대학 국제관계대학원 교수를 역임했다. 현재 스탠퍼드대학교의 교수이자 동 대학 프리먼 스포글리 국제학연구소(FSI) 선임연구원, 민주주의・발전・법치주의 센터(CDDRL)의 책임자로 있다. 1989년 발표한 논문을 발전시킨 첫 책, 『역사의 종말The End of History and the Last Man』에서 자유주의와 공산주의의 전쟁에서 자유주의가 승리했으며, 이로써 “역사는 끝났다”라는 논쟁적인 주장을 펼치며 전 세계적인 반향을 불러일으켰다. 이후 급변하는 세계 질서를 예리하게 진단하는 공공 지식인이자 우파 논객으로서 적극적으로 활동을 이어 가고 있다. 저서로 『트러스트Trust』 『대붕괴 신질서The Great Disruption』 『강한 국가의 조건State-Building』 『정치 질서의 기원The Origins of Political Order』 『존중받지 못하는 자들을 위한 정치학Identity』 등이 있다.
-
-
하남석
대표작 : 시진핑 新시대 왜 한국에 도전인가? - 시진핑 1人 체제는 순항할 것인가?
약 력 :서울시립대 교수
-
-
장영희
대표작 : 시진핑 新시대 왜 한국에 도전인가? - 시진핑 1人 체제는 순항할 것인가?
약 력 :성균중국연구소 실장
-
-
김인희
대표작 : 시진핑 新시대 왜 한국에 도전인가? - 시진핑 1人 체제는 순항할 것인가?
약 력 :동북아역사재단 한중관계사연구소 소장
-
-
양갑용
대표작 : 시진핑 新시대 왜 한국에 도전인가? - 시진핑 1人 체제는 순항할 것인가?
약 력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책임연구원
-
-
강준영
대표작 : 시진핑 新시대 왜 한국에 도전인가? - 시진핑 1人 체제는 순항할 것인가?
약 력 :한국외대 교수
-
-
양평섭
대표작 : 시진핑 新시대 왜 한국에 도전인가? - 시진핑 1人 체제는 순항할 것인가?
약 력 :KIEP 선임연구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