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류시화
대표작 : 영혼의 동반자
약 력 : 시인이자 명상가.경희대학교 국문학과를 졸업했으며 1980년 한국일보 신춘문예 시 부문에 당선된 바 있다. 1980~1982년까지 박덕규, 이문재, 하재봉 등과 함께 시운동 동인으로 활동했으나 1983~1990년에는 창작 활동을 중단하고 구도의 길을 떠났다. 이 기간 동안 명상서적 번역 작업을 했다. 이때 『성자가 된 청소부』, 『나는 왜 너가 아니고 나인가』, 『티벳 사자의 서』, 『장자, 도를 말하다』, 『마음을 열어주는 101가지 이야기』, 『영혼을 위한 닭고기 스프』 등 명상과 인간의식 진화에 대한 주요 서적 40여 권을 번역하였다. 1988년 '요가난다 명상센터' 등 미국 캘리포니아의 여러 명상센터를 체험하고, 『성자가 된 청소부』의 저자 바바 하리 다스와 만나게 된다. 1988년부터 열 차례에 걸쳐 인도를 여행하며, 라즈니쉬 명상센터에서 생활해왔다. 그의 시집 『그대가 곁에 있어도 나는 그대가 그립다』는 1989년~1998년 동안 21번 베스트셀러에 올랐고, 시인은 「시로 여는 세상」 2002년 여름호에서 대학생 53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가장 좋아하는 시인에 윤동주 김소월. 한용운과 함께 이름을 올렸으며 명지대 김재윤 교수의 논문 설문조사에서 20세기 가장 위대한 시인 10위, 21세기 주목해야할 시인 1위, 평소에 좋아하는 시인으로는 윤동주시인 다음으로 지목된다. 저작권 협회의 집계 기준으로 류시화 시인의 시는 라디오에서 가장 많이 낭송되는 시로 손꼽히기도 한다. 류시화 시인의 작품은 문단과 문예지에도 외면을 당하기도 했는데 안재찬으로 활동했을 당시, 민중적이고 저항적 작품을 지향했던 당대의 문단과는 달리 신비주의적 세계관의 작품세계로 인해 문단으로부터 비판을 받았고 외계인이라고 불리기까지 했다. 적극적인 현실참여를 주장하고 있는 민중주의자들이 주류를 이루고 있던 당시의 문단에서 현실 도피의 소지를 제공한다며 비난을 받았으며 대중의 심리에 부응하고 세속적 욕망에 맞춰 작품이 창작되었다는 혹평을 받기도 했다. 그러나 시인 이문재씨는 류시화의 시가 그 때나 지금이나 거의 변하지 않고 초기의 시세계를 유지하고 있음에 주목하고 20여년이라는 시간 동안 자신을 지키며 변화하지 않았다는 것이 큰 변화 못지 않은 견딤이라 평가하기도 하였다. 류시화의 시는 일상 언어들을 사용해 신비한 세계를 빚어내어, 걸림없이 마음에 걸어들어오면서 결코 쉽고 가볍게 치부할 수 없는 무게로 삶을 잡아내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낯익음 속에 감추어져 있는 낯설음의 세계를 재발견하는 시세계를 한껏 선사해왔다. 그의 대표작인『외눈박이 물고기의 사랑』에서는 한층 깊어진 눈빛을 지닌 시세계가 곱씹히고 곱씹힌다. 류시화는 가타 명상센터, 제주도 서귀포 등에서 지내며 네팔, 티벳, 스리랑카, 인도 등을 여행하며 그가 꿈꿔왔던 자유의 본질 그리고 꺠달음에 관한 사색과 명상들이 가득한 산문집을 내기도 했다.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실소를 자아내는 일화들 속에서, 그렇지만 그냥 흘려버리기엔 너무 무거운 이야기로 삶이 무엇인지에 대한 가르침을 전해준다. 시집 『그대가 곁에 있어도 나는 그대가 그립다』 『외눈박이 물고기의 사랑』 『나의 상처는 돌 너의 상처는 꽃』을 냈으며, 잠언시집 『지금 알고 있는 걸 그때도 알았더라면』 『사랑하라 한번도 상처받지 않은 것처럼』을 엮었다. 인도 여행기 『하늘 호수로 떠난 여행』 『지구별 여행자』를 펴냈으며, 하이쿠 모음집 『한 줄도 너무 길다』 『백만 광년의 고독 속에서 한 줄의 시를 읽다』 『바쇼 하이쿠 선집』과 인디언 연설문집 『나는 왜 너가 아니고 나인가』를 엮었다. 번역서 『인생 수업』 『술 취한 코끼리 길들이기』 『마음을 열어주는 101가지 이야기』 『달라이 라마의 행복론』 『삶으로 다시 떠오르기』 『기탄잘리』 『예언자』 등이 있다. 2017년 산문집 『새는 날아가면서 뒤돌아보지 않는다』 등을 출간했다.
-
-
이겸
대표작 : 돌에 새긴 희망 - 미륵을 찾아서
약 력 : 프리랜서 사진작가이겸은 새로운 길을 떠난 순례자다. 그의 순례를 이끄는 것은 밝음이다. 빛이 도착해 세상에 닿을 때 그것을 보는 이며, 빛이 없던 때 어둠과 대면한 자다. 두 스승과 함께 살았고, 그 행복한 순간들을 기억하는 자다. 현명하고 풍요로운 땅 아내가 있으며, 언제나 이 땅에서 출발하고 이곳으로 돌아오는 이다. 오늘도 '카메라를 든 순례자'는 바람을 따라 살고 있다. 홍익대학교 대학원에서 사진을 전공했다. 「샘이 깊은 물」과 '아트 스페이스 코리아'의 사진기자를 거쳐 사진가 집단 'FOPA'의 비주얼 디렉터로 활동했으며, 현재 프리랜서 사진작가로 일하고 있다. 「월간 지오」 「모닝캄」 「아시아나」 「메종」 「행복이 가득한 집」 등 여러 매체와 일을 해왔으며, 4번의 개인전과 1번의 단체전을 열었다. 지은 책으로는 『가고 싶은 만큼 가고, 쉬고 싶을 때 쉬어라』, 『돌에 새긴 희망, 미륵을 찾아서』, 『마지막 은둔의 땅, 무스탕을 가다』, 『메구스타 쿠바』, 『걷는 자의 꿈, 존 뮤어 트레일』 등이 있다.
-
-
이학종
대표작 : 돌에 새긴 희망 - 미륵을 찾아서
약 력 : 불교전문기자건축학과를 나와 한동안 건축토목기사로 전국을 돌며 길을 닦고 도로를 내는 일을 했다. 앞으로 계속 이런 일을 하면서 사는 것인가 생각하던 중에, 1988년 우연히 신문에 조그맣게 실린 창간기사를 보았다. 그리고 그곳의 사원공채에 이력서를 낸 것이 인연이 되어 그 후 17년 간 불교신문 기자로서 우리나라 불교계의 동향을 취재하고 외국의 유서깊은 불교 명승지와 우리나라 곳곳의 사찰들을 돌며 기행문을 썼다. 불교 전문기자로 일을 하는 도중에 동국대 불교 대학원을 졸업하였으며, 현재는 편집장을 맡고 있다. 저서 『산승의 향기』『선을 찾아서』
-
-
김정하
대표작 : 안녕, 루시! - 을파소 그림책 4 학교생활
약 력 : 스페인어 번역가스페인 문학을 공부하고 스페인어로 된 어린이책을 읽고 감상하고 우리말로 옮기는 일을 하고 있습니다. 옮긴 책으로 《에이해브와 흰 고래》, 《지구의 시》, 《숲속의 편지들》, 《나에게 초능력이 있다면》, 《고장 난 가족》, 《모조리 싹싹 머핀 삼촌》, 《어느 좋은 날》 등이 있습니다.
-
-
파토 메나
대표작 : 안녕, 루시! - 을파소 그림책 4 학교생활
약 력 : 어린이책 작가이자 일러스트레이터입니다.칠레에서 태어났으며 현재는 스페인 바르셀로나에 살고 있습니다. 칠레, 스페인, 중국 등 여러 나라에서 책을 출간하며 활동 영역을 넓히고 있으며 볼로냐 도서전의 칠레 공식 대표단으로 선발되기도 하였습니다.
-
-
장진영
대표작 : 하루만에 배우는 6시그마
약 력 : 연세대학교 수학과 학사, 동 대학원 석사.1991년 삼성화재에 입사하여 상품개발, Risk Management, 계리 부문의 업무를 수행하며 보험계리사, FRM 자격을 취득했다. 1996년에는 1년간 미국지역전문가로 활동했고 2003년부터 6시그마 사무국에서 경영관리 부문 프로젝트를 수행중이다.
-
-
김성빈
대표작 : 로지컬 프레젠테이션 - 비즈니스의 성패를 결정하는
약 력 : 일본역 통번역가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어과와 동 대학 통번역 대학원 한일과 졸업. 전문 번역가로 활동하며, , , 등 다수의 번역서가 있다.
-
-
다카다 다카히사
대표작 : 로지컬 프레젠테이션 - 비즈니스의 성패를 결정하는
약 력 : 기업혁신 전문가1998년에 전략계 컨설팅회사 아더 D리틀에 입사. 제조업을 중심으로 회사전체, 사업, R&D를 비롯한 각종전략 입안에서부터 업무 프로세스, 프로젝트리더로 활약하는 한편, 채용담당, 교육연수담당 등도 역임하였다. 그 후 2002년에 일본의 대기업 전기회사에 입사하여 사장직속으로 활동, 그 외 경영기획부, 프로페셔널 사원으로서 기업혁신에 종사하고 있다. 개인적으로는 취업 포털사이트인 ‘외자컨설팅.COM’을 운영하고 있으며, 젊은 층의 매니지먼트 인재육성을 위한 각종 연구회와 합숙을 개최하고 있다. 현재는 그로비즈 매니지먼트 스쿨과 와세다대학의 오픈 컬리지 강사로 활약하고 있다.
-
-
헨리 민쯔버그
대표작 : 리더십 (Leadership)
약 력 :
-
-
이종영
대표작 : 한 번 뿐인 내 인생 이렇게 살고 싶다
약 력 :일본 고베 대학교 상학박사로 전 경북대학교 교수, 전 고베 대학교 객원교수 등을 지냈다. 국제적인 에스페란티스토로 세계에스페란토협회장을 지냈다. 주요 저서로는 『기업윤리』『에스페란토』 등 다수가 있다.